본문 바로가기
D:S Living🏠/D:S 부동산, 제태크

청년도약계좌 공개 : 5년동안 최대 5천만원 모은다. 23년 6월 출시 예정

by D:S 2023. 3. 8.

23년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장기적인 자산형성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새롭게 도입한 상품으로, 월 최대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목차

     

     


    청년도약계좌 출시 소식

    2023년 6월 말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가 공개되었습니다. 청년을 위한 장기적인 자산형성을 돕기위한 이번 정부의 새로운 상품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고 특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과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최대 70만원을 5년간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는 정부 지원 금융상품입니다. 가입 대상은 만 19~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로 제한됩니다. 개인소득이 600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정부기여금 지급 및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개인소득이 6000만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정부기여금은 지급되지 않고 비과제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군 복무 등으로 인해 취업이 늦은 경우는 그 기간만큼 나이 상한선에 높아진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과 금리

    정부는 월 납입액 40만~70만원 기준으로 가입자의 소득 수준과 납입 금액에 따라 최대 6%까지의 정부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이 기여금 규모는 납입 금액과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지원됩니다. 또한 가입 후 3년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며,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취급기관별로 금리 수준이 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추후 금융위원회에서 공지가 될 것이라고 하고 금리 또한 5년간 고정금리가 될 수 있도록 지속 협의한다고 하니 좀 더 파격적인 혜택으로 제공되었으면 좋겠네요. 

     

     

     


     

    청년도약계좌의  한계

    최종 만기 수령액은 본인이 납입한 금액과 정부 기여금, 경과 이자가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 이자 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혜택이라도 현재 청년들이 5년간 40~70만원의 금액을 현실적으로 지속 투자할 수 있을지가 의문입니다. 좀 더 부담 없는 금액으로 지속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또한 고령화와 최초 취업연령대가 높아지고 있는 지금 청년도약계좌의 나이 폭을 좀 더 확대하는 것이 현실적이지 않나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앞으로 계속 공개될 다양한 청년을 위한 재테크 상품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노력하신다면 충분히 이점이 있어 보입니다. 

     

     

     

     


     

    바쁜 분들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1분 요약!

    23년 6월 말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가 공개되었습니다. 청년들이 장기적인 자산형성을 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새롭게 도입한 상품으로, 5년간 월 최대 70만원을 납입하면 최대 5000만원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이 정부 입장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일정비율의 정부기여금을 지원하며, 이자 소득 등에 대해서는 비과세 혜택을 적용합니다. 매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 가능하고, 만기는 5년입니다. 가입대상은 만 19세 ~ 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중위 180% 이하인 경우입니다.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후 3년간 고정금리, 이후 2년간 변동금리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금리는 취급기관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향후 기관 발표 시 잘 비교해 보시고 가입하시면 좋겠습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을 들고 계신 분께서는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댓글